장소성 형용사를 통한 리마인드 한강 프로젝트
코로나 시대가 지나고 모두가 예측했던 비대면의 성행은 무너졌다. 사람들은 더 많은 장소와 공간을 원하게 되었고 그중 가장 대표적인 공간으로 꼽힌 곳, 바로 한강이다. 한강은 과거부터 현재까지 한국의 강을 넘어 한민족의 터전, 한가람의 정신이 담긴 우리의 역사성을 이어오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한강에 대하여 얼마나 알고 있는가? 과연 한강이 주는 의의와 공간성에 대한 인식 탐구는 충분한가? <리마인드 한강>은 질문에 답할 수 있는 시작점이 되고자 한다. 장소성 형용사를 통해 실 이용자에게 한강에 대한 생각과 의견, 감상을 물어보고 시각화하는 과정으로 실제 우리가 현재의 한강을 바라보는 시선을 직관적으로 확인하게 된다. 과연 현세대의 우리는 한강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었을까?
장소성 형용사를 통한 리마인드 한강 프로젝트
코로나 시대가 지나고 모두가 예측했던 비대면의 성행은 무너졌다. 사람들은 더 많은 장소와 공간을 원하게 되었고 그중 가장 대표적인 공간으로 꼽힌 곳, 바로 한강이다. 한강은 과거부터 현재까지 한국의 강을 넘어 한민족의 터전, 한가람의 정신이 담긴 우리의 역사성을 이어오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한강에 대하여 얼마나 알고 있는가? 과연 한강이 주는 의의와 공간성에 대한 인식 탐구는 충분한가? <리마인드 한강>은 질문에 답할 수 있는 시작점이 되고자 한다. 장소성 형용사를 통해 실 이용자에게 한강에 대한 생각과 의견, 감상을 물어보고 시각화하는 과정으로 실제 우리가 현재의 한강을 바라보는 시선을 직관적으로 확인하게 된다. 과연 현세대의 우리는 한강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