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unication Design, Dankook University
33rd graduation SHOW
Communication Design,
Dankook University
33rd graduation SHOW
<PLANET33> Identity

Planet33 : 새로운 행성의 탄생과 성장
“2022년 10월, 지구로부터 약 470만 광년 떨어진 곳에서 새로운 행성이 관측되었습니다. 이는 각 종자들이 유기적으로 얽혀 탄생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행성의 이름은 ‘Planet33 (U+2630)’으로 명명합니다.” - NASA 미국 항공 우주국
Planet33 : 새로운 행성의 탄생과 성장
“2022년 10월, 지구로부터 약 470만 광년 떨어진 곳에서 새로운 행성이 관측되었습니다. 이는 각 종자들이 유기적으로 얽혀 탄생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행성의 이름은 ‘Planet33 (U+2630)’으로 명명합니다.” - NASA 미국 항공 우주국

우리 연구팀은 ‘Planet33’이라는 하나의 행성을 탄생시키기 위해 그동안 수많은 탐구와 도전을 해왔다. 행성 탄생에 이바지한 각 종자들을 4년이라는 시간에 걸쳐 다양한 방식으로 성장시켜 왔으며,
마침내 본 행성을 탄생시킬 수 있게 되었다. 우주라는 한 공간 내에서 수많은 항성들과 조화를 이룰 때 비로소 빛을 발하는 본 행성은 5일이라는 짧은 생애 주기를 갖는다.
비록 5일 뒤 ‘Planet33’은 소멸하지만 그동안 우리가 흘려왔던 땀방울과 발자취는 영원히 남아있을 것이며, 우리들의 끊임없는 탐구와 도전 그리고 성장은 영원히 지속될 것이다.
정형화된 네트워크 그리드 내에서 서로가 함께 커뮤니케이션하며 조화를 이루고, 유기적으로 성장한 우리의 모습과 역량을 <Planet33> 행성을 통해 선보이고자 한다.
우리 연구팀은 ‘Planet33’이라는 하나의 행성을 탄생시키기 위해 그동안 수많은 탐구와 도전을 해왔다. 행성 탄생에 이바지한 각 종자들을 4년이라는 시간에 걸쳐 다양한 방식으로 성장시켜 왔으며, 마침내 본 행성을 탄생시킬 수 있게 되었다. 우주라는 한 공간 내에서 수많은 항성들과 조화를 이룰 때 비로소 빛을 발하는 본 행성은 5일이라는 짧은 생애 주기를 갖는다. 비록 5일 뒤 ‘Planet33’은 소멸하지만 그동안 우리가 흘려왔던 땀방울과 발자취는 영원히 남아있을 것이며, 우리들의 끊임없는 탐구와 도전 그리고 성장은 영원히 지속될 것이다.
정형화된 네트워크 그리드 내에서 서로가 함께 커뮤니케이션하며 조화를 이루고, 유기적으로 성장한 우리의 모습과 역량을 <Planet33> 행성을 통해 선보이고자 한다.
Poster
단국대학교 커뮤니케이션디자인과의 서른세 번째 전시를 맞아 ’33’이라는 그래픽 모티브를 활용하였으며, 단순한 숫자가 아닌 본 전시에서만 활용될 수 있는 형상이다.
각각의 점들은 그동안 우리가 일구어낸 종자들의 산출물로 이들이 모여 하나의 행성을 이루게 된다. 점들과 선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33’이라는 그래픽이 형성되고,
이는 독자적인 성장이 아닌 ‘상생’과 ‘조화’를 통해 유기적으로 성장한 우리들을 상징한다.
단국대학교 커뮤니케이션디자인과의 서른세 번째 전시를 맞아 ’33’이라는 그래픽 모티브를 활용하였으며, 단순한 숫자가 아닌 본 전시에서만 활용될 수 있는 형상이다. 각각의 점들은 그동안 우리가 일구어낸 종자들의 산출물로 이들이 모여 하나의 행성을 이루게 된다. 점들과 선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33’이라는 그래픽이 형성되고, 이는 독자적인 성장이 아닌 ‘상생’과 ‘조화’를 통해 유기적으로 성장한 우리들을 상징한다.
Motion Poster
처음 하나의 점에서 시작되어 그리드가 완성되는 모습은 우리가 단국대학교 커뮤니케이션디자인과에서 시작하여 각자 4년이라는 시간에 걸쳐 다양한 방식으로 성장해나가는 모습을 나타낸다. 그렇게 완성된 그리드 안에서 나타난 형상, 을 통해 유기적으로 성장한 우리의 모습과 역량을 선보이고자 한다.